
부산대가 밀양시 등 지역사회와 사전 협의나 의견수렴 없이 일방적 비밀리에 추진 학과 폐지를 교육부가 승인해 준 것처럼 허위 날조, 진실 호도하고 밀양시와 언론 기만 2005년 290억 지원 예산,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 위법, 부당성 여부 철저히 따지고 검증 “꼼수를 부리면서까지 비밀리에 진행, 묵과할 수 없고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 국민의힘 박상웅 국회의원(밀양·의령·함안·창녕, 원내부대표)은 국회의원 회관에서 최재원 부산대학교 총장을 만나, 최근 부산대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인원 축소 사태와 관련해 강력 항의하고 ‘깜깜이’로 진행된 절차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질타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박 의원은 “2005년 당시 기존 학생이 없는 신설 나노학부 밀양 유치에만 혈안이 된 부산대는 산학협력이라는 감언이설로 밀양시와 시민을 기만했다”면서 “현재 나노 국가산단에 실제로 ‘나노’가 없는 상황에서도 부산대의 역할은 어디에도 없고 최소한의 책임을 확인할 수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늘날 밀양시가 침체하게 된 원초적인 요인을 부산대가 제공했다는 것이다. 부산대학교는 지난 4월 부산·양산 캠퍼스에 학과 신설과 학생 수 증원을 위해 밀양캠퍼스 나노과학기술대학 3개 학과를 폐지하는 등의 학제 개편 작업을 일방적이고 기습적으로 추진했다. 밀양시 등 지역사회와의 사전 협의나 의견수렴은 전혀 없었다. 박 의원은 “밀양캠퍼스 정원을 줄이고 꼼수를 부리면서까지 비밀리에 진행된 것은 묵과할 수도 도저히 용납할 수도 없는 일”이다. “또다시 밀양을 기만하고 학생 수를 줄이는 음모를 꾸민다면 부산대는 부도덕한 집단으로 매도되는 것은 물론, 지역 갈등을 조장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부산대는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가 마치 교육부가 승인해 준 것처럼 허위 날조하기도 했다. 박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과의 신설, 통합 및 폐지는 각 학교가 학칙을 통해 정하고 있으며, 국립대인 부산대는 학칙에 반영된 정원을 우리 부(교육부)에 사후 보고했다”는 것이다. 결국 교육부를 끌어들여 진실을 호도하고 관계 기관인 밀양시와 언론까지 기만한 꼴이다. 2005년 부산대학교와 밀양대학교가 통폐합할 당시 부산대학교는 4년간 290억원의 예산을 교육인적자원부(現 교육부)로부터 지원받았다. 밀양시는 20년간 진입도로 확장에서부터 국도 58호선(밀양역~삼랑진) 개설, 연구용역 발주 등 900억원에 가까운 경제적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에 따라 박 의원은 지난 2005년 부산대학교에 지원된 290억원의 예산이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 철저히 따지고,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와 인원 축소 과정에서 위법 부당성은 없었는지 검증할 계획이다. 사진...박상웅 국회의원(왼쪽), 최재원 부산대학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