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세지감 느껴지는 ‘소싸움 50년’ 역사 전통문화유산 활성화와 계승을 위해 1970년부터 부활 되기 시작한 소싸움이 50여년 만에 ‘존폐’ 기로에 직면하면서 격세지감이 느껴지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제2탄으로 반세기를 재조명해 본다. 소싸움장은 최초에 하천 변이나 공터 등에서 나무로 된 울타리를 치고 주위에 서서 관람해 왔다. 시대가 변천하면서 2000년대 후반부터 천연목재 등으로 울타리를 치고 비 안 맞고 앉아서 관람하는 현대식 경기장으로 변모했다. 관람객 또한 대회 기간 지역의 수백여 명에서 전국의 수천여 명으로 확 늘어났다. 2002년에는 상설소싸움장 유치를 놓고 의령군과 진주시가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데 이어 2012년에는 의령군도 청도군처럼 소싸움 우권 발매를 추진하자, 청도군의 반대로 경남 국회의원이 준비했던 관련 법률안 발의가 무산된 적도 있다. 의령군과 진주시가 유치 경쟁에 정점을 찍었던 상설소싸움장은 농림부가 2002년 7월, 경남에 농촌경제 회생 일환으로 ‘전통 소싸움 보존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대통령령으로 공포 했다가 경쟁이 과열되자 2년이 넘어 허가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하면서 교통정리(없었던 일)가 되어 버렸다. 교통정리 이전에 100년 소싸움 발원지와 1986년부터 전국소싸움대회를 개최해오던 의령군이 과천 정부 청사 앞에서 싸움소(20여두)를 앞세우고 군수 등 200여명이 ‘상설소싸움장은 반드시 의령군에 유치되어야하는 당위성’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가슴이 터지는 심정으로 목소리를 높였지만 ‘촌놈들의 땡깡’으로만 인식됐다. 이후 의령군은 소싸움의 진가를 도시민들에게 보여주겠다며 2004년(4일간)과 2005년(7일간) 추석에 부산 해운대 벡스코 광장 옆에 특설 소싸움장을 설치해 유료 관람객이 총 6만명을 넘게 돌파한 ‘추석 왕중왕전 전국소싸움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 결과는 소싸움 관심도를 전국에 더욱 각인시키는 시금석이 되었으며, 비록 동네는 작지만 소싸움에 대한 현대판 역사를 통 털어 최고의 중심에 섰던 의령군이 빠질 수가 없다. 평균 800여kg에 달하는 우직한 소들의 폭발적인 공격(박진감)과 방어(스릴)가 교차 할 때마다 관람객들로부터 터져 나오는 열기 생동감이 확산되면서 그 규모가 전국 11개 소싸움지회(이하 전국지회)로 확대됐다. 이에 해당 전국 11개 지자체에서도 관광산업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례와 ‘소싸움은 동물학대에서 제외 된다’는 동물보호법 제10조에 근거해 대회 때마다 전국지회에 억대의 예산을 지원해 왔다. 예산 지원으로 전국지회는 서로 싸움소를 출전(평균 200여두)시키고 결속력을 다지며 전국소싸움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22년부터는 ‘소싸움’을 ‘소힘겨루기’로, ‘(사)전국투우연합회’는 ‘(사)대한민속 소 힘겨루기전국연합회’로 바꾸어 다소 거치게 들리는 명칭을 부드러운 이미지로 순화시켰다. 의령군의 경우 5일간 개최하는 전국대회만 해도 평균 8천여 명의 관람객 운집을 계산해 볼 때, 전국지회에서 개최되는 각종 대회에 연간 수많은 국민들이 소싸움을 관람하고 호응하면서 관광산업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조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올해는 전국 11개 참여 동물단체(전국행동)의 동물학대 소싸움 폐지 주장 여파인지, 전국 11개 지역 중 5개 지자체에서 예산 편성이 불발되면서 대회를 개최하지 않거나 못했다. 여기에다 국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동물학대 소싸움 전면 금지 및 관련 조례 폐지 요청에 관한 국민동의청원’에 5만 명이 넘게 동의하면서 지난 7월 달에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회부됐다. 회부된 청원안은 국회 본회의 표결까지 가기위해서는 위원회에서 타당성과 사회적 파급력 등의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판단하는 관점이 서로 다르면서 상황이 이렇다. 이제는 어느 쪽의 주장에 당위성이 있는지를 심도 있게 따져서 계속되고 있는 ‘존폐’ 논쟁을 반드시 결판 내야 한다. 변경출 기자 사진...현대식으로 건립된 의령 민속소싸움 경기장 모습